컨테이너와 도커의 개념 및 역할
- 컨테이너란?
-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환경을 패키지화한 기술입니다. 이를 통해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차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- 컨테이너는 가상 머신(VM)과는 다르게,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므로 경량화된 프로세스 격리를 제공합니다.
- 도커란?
- 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을 구현한 오픈소스 플랫폼으로, 컨테이너를 생성, 관리, 배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
- 도커는 애플리케이션 개발, 테스트, 배포를 일관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-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.
컨테이너의 특징과 도커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배포
- 컨테이너의 주요 특징
- 격리성: 각 컨테이너는 독립적으로 실행되어 다른 컨테이너나 호스트 시스템과 격리됩니다.
- 경량성: 가상 머신과 달리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리소스 소모가 적습니다.
- 이식성: 어디서나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과 모든 종속성을 포함합니다.
- 확장성: 컨테이너는 빠르게 생성 및 삭제할 수 있어 대규모 트래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
- 도커를 활용한 배포 프로세스
- 개발: 개발자는 도커 이미지를 정의하기 위해 Dockerfile을 작성합니다.
- 테스트: 작성된 이미지를 도커 컨테이너로 실행하여 테스트합니다.
- 배포: 도커 이미지를 컨테이너 레지스트리(예: Docker Hub, AWS ECR)에 저장한 뒤 운영 환경에 배포합니다.
- 운영: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(Kubernetes 등)를 활용해 운영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관리합니다
도커가 MSA 구현에 필수적인 이유
- 일관된 환경 제공:
-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므로, 환경 간 차이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- 빠른 배포와 확장 가능:
- MSA에서는 서비스별로 독립적인 배포가 중요한데, 도커는 이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.
- 효율적인 자원 활용:
- 가상 머신보다 경량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격리성과 보안성:
- 각 서비스가 독립된 컨테이너로 실행되기 때문에 하나의 서비스 장애가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
- DevOps 친화성:
- CI/CD 파이프라인에 쉽게 통합할 수 있어 빠르고 안정적인 배포 프로세스를 지원합니다.